덧셈의 소거에 대해서도 했으니,
곱셈의 소거에 대해서도 충분히 논할 수 있을 것이다.
0이 아닌 정수 r에 대해
pr=qr => p=q
이러한데, 이걸 표시할 형식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
곱셈의 소거를 나눗셈이라하고
형식은 p=pr/r 또는 pr ÷ r
0이 아닌 정수에서 저렇게 소거를 할 수 있는데,
임의의 정수 p, q에 대해서,
p/q 의 값이 정수가 되느냐를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우선 자연수에 대해 생각해보자.
n+d=m (세 문자 다 자연수)
그러면, n<m이고,
ml=(n+d)l=nl+dl 이므로,
nl<ml이 된다.
n은 nl/l, m은 ml/l 이므로,
nl<ml이 되려면, nl/l < ml/l 이 되어야 한다.
그러면, 논리의 일관성을 가지기 위해,
임의의 자연수 p,q,r 에 대해서,
p<q 가 되려면, p=(p/r) x r , q=(q/r) x r 이므로,
p/r < q/r 이어야 할 것이다.
n<m 일 때를 생각해보자.
이 때, n/m < m/m 이렇게 될 것이다.
m/m=1 이므로,
n/m < 1 이다.
n/m 의 크기를 어떻게 정해야 할까?
그리고 우리가 앞에서 얘기했던 정수에 속하는가?
우리가 알고있는 것에서 부터 얘기해보자.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해,
0<n 이다.
거기에 0=m x 0 = 0 x m임을 생각하면,
0=(0 x m)/m=0/m 이다.
임의의 정수 p, q 와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해
p<q 일 때, pn<qn 이 된다.
앞에서 n,m은 자연수이고,
0<n<m 이다.
이걸 다르게 표현하면,
(0/m) x m < (n/m) x m < (m/m) x m
그리고 이걸 m으로 나누면,
0 = 0/m < n/m < m/m =1
n/m 은 0과 1 사이의 수가 된다.
정수에서는 0 다음에 바로 1 이었다.
n<m 일 때, n/m은 0과 1 사이의 새로운 순서가 되었다.
n/m과 같은 수를 넣을 수 있도록
새로운 집합을 정해야 할 것이다.
정수에 이런 집합을 포함했을 때
이를 유리수라고 한다.
이 유리수도 순서를 정해야 하는데,
정수 체계와 연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정수가 가지고 있는 성질이 있어야 할 것이다.
자연수 0<n<m 이 있을 때,
-m < -n <0 이 되는 것 처럼
앞에 나온 수, n/m도 같은 논리를 적용하면 될 것이다.
0 < n/m < 1
이니,
-1 < -(n/m) < 0
이런 식으로 말이다.
-m < -n < 0 에 m으로 나누면,
-(m/m) < -(n/m) < 0/m
-1 < -(n/m) < 0
이 되므로,
자연수로 나눌 때, 부호가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0보다 큰 수를 자연수로 나누면 0보다 큰수
0보다 작은 수를 자연수로 나누면 0보다 작은수
이런 식으로 말이다.
자연수 n,m에 대해,
nm/m=n
(nm/m) x m =n x m =nm
이 되므로,
임의의 자연수 k, l에 대해,
(k/l) x l= k= kl/l 가 된다.
이 사실로 부터
-(n/m) x m -(n/m x m)=-n
여기에 l을 나눠보자.
-(n/m) x m/l = - (n/m x m/l) = -n/l
-(n/m) x (-(m/l))=-(n/m x (-(m/l)))=-(-(n/m x m/l))
=n/m x m/l=n/l=(nm/lm)=(nm/lm)
여기서, 분자끼리 곱한거에 분모끼리 곱한거 나눠도
같은 값이 나온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다.
즉, 임의의 유리수 p, q에 대해
p<0, q>0 일 때, pq<0 이 된다.
여기서 -q<0 이므로,
p(-q)=-pq>0
또, -p>0면, (-p)q=-pq>0
즉, 임의의 유리수 p,q의 부호가 같으면, pq>0
p,q 부호가 다르면, pq<0
pq>0 일 때, p와 q의 부호가 같은데,
여기서 pq/q=p 이므로,
q<0 일 때, p<0
q>0 일 때, p>0
즉, 자연수 n,m 이 있다고 했을 때,
n/(-m) 이면, n/(-m)<0
n/m 이면, n/m>0
n/(-m) x (-m) = n
-(n/m) x (-m) = -(-(n/m) x m)=-(-n)=n
-m은 0이 아니므로 소거 가능,
따라서, n/(-m) = -(n/m)
여기서, (-n)/(-m)=-(n/(-m))=-(-(n/m))=n/m
이 될 것이다.
임의의 정수 k,l에 대해서, k/l 일 때,
k, l 부호가 같으면, k/l>0
서로 부호가 다르면, k/l<0
이 될 것이다.
다음은 유리수 나누기에 대한 표현인데,
(p/q)/(r/s) 라는 수가 있다고 하자.
p,q,r,s 는 정수, q,r,s 는 0 이 아닌 정수
(p/q)/(r/s) = k 라고 할 때,
k x (r/s) = kr/s = p/q
여기서 양변에 s 를 곱하면,
kr = p/q x s = ps/q
여기서 양변에 q를 곱하자.
그러면, krq = ps
양변에 rq 소거
k = ps/rq
즉, (p/q)/(r/s) = ps/rq = ps/qr 가 된다.
(p/q)/s 가 있으면,
(p/q)/(s/1), s/1=s이기 때문,
(p/q)/s=p/qs 가 된다.
유리수 연산을 해보자.
a/b + c/d
라는 연산이 있을 때, ( b, d는 0이 아니다.)
a/b에서 d를 곱하고 d를 소거하면 결과가 같다.
ad/b 에서 d를 소거하면,
(ad/b)/d = ad/bd
같은 방식으로, c/d에서 b를 곱하고 소거하면,
cb/db = bc/bd
a/b + c/d = ad/bd + bc/bd
정수 m,n,l 에 대해 ( l은 0이 아니다.)
m+n = ml/l + nl/l = (m+n)l/l =(ml+nl)/l
이기 때문에, 정수 x, y, z 에 대해, ( z는 0이 아니다.)
x/z + y/z =(x+y)/z
a/b + c/d =ad/bd + bc/bd = (ad+bc)/bd
이런 식으로 된다.
a/b + ( c/d + x/y ) = a/b + (cy+dx)/dy
= ( ady + b(cy+dx))/bdy
=(ady+bcy+bdx)/bdy
(a/b + c/d) + x/y = (ad+bc)/bd + x/y
=((ad+bc)y+bdx)/bdy
=(ady+bcy+bdx)/bdy
유리수에서도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이처럼 유리수가 정수 기반으로 형성된 수이기 때문에,
덧셈의 결합, 교환, 소거 법칙이 성립되고,
곱셈의 분배, 결합, 교환 법칙이 성립되고,
곱셈에 들어가는 수가 0이 없으면, 소거법칙도 성립된다.
'교육 > 수알못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수, 배수 그리고 소수 Divisor, multiple and prime number (0) | 2019.12.30 |
---|---|
거듭제곱 Exponentiation (0) | 2019.12.30 |
정수의 덧셈과 곱셈 Addition and multiplication about integer (0) | 2019.12.30 |
뺄셈과 정수 Subtraction and integer (0) | 2019.12.30 |
자연수 사이에서의 크기 Magnitude between natural numbers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