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수알못시리즈

연립 방정식과 행렬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자 Let's take a look at System of equations and matrix simply

이전 포스트에서 방정식에 대해 대충 훑어보면서

연립방정식을 보았다.

 

 

이런 식 말이다.

이렇게 쓰게되면,

각 식에 있는 미지수를 식 적을 때 마다 일일히 적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역사적으로도 이걸 해소하기 위한 방법이

계수는 계수대로 따로 적고 미지수는 미지수대로 따록 적는 방법이었다.

일단, 이 방정식을 조금 더 편하게 적는 방법은

 

 

이런 식일 것이다.

적어도 같은 미지수를 여러번 적는 일은 없지 않는가?

여기서 조금 더 깔끔하게 표기하는 방법이

계수와 미지수를 분리하는 방법일 것이다.

방법은 두 가지 정도가 있을 것인데, 살펴보자.

그런데, 이런 식으로 적으면 공백이 생기지 않겠는가?

실제로 무슨 목적으로 지금의 형식이 되었는지는 모르겠으나,

공백을 적게 하기위한 목적도 있었는지,

 

 

이런 식으로 적도록 정해놓았다.

 

 

이런 연립 방정식을

 

 

 

이렇게 되고, 조금 더 진화해서

 

 

계수 미지수 따로 분리해서 깔끔하게 적어놓은 형태가 되었다.

저 괄호와 숫자들의 묶음을 행렬(matrix)라고 한다.

이렇게 적으면, 계수는 같고 미지수가 다른 연립 방정식을 여러개를 표현할 수 있다.

연립 방정식을 더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얘기다.

개수가 많을수록 더 효율적이다.

 

 

이렇게 표현하는게

 

.

.

.

 

이렇게 일일히 표현하는 것 보다 효율적이지 않는가?

 

 

이 때, a에 첨자 붙인 것들로 이루어진 행렬을 A라고하고,

x에 첨자 붙인 것들로 이루어진 행렬을 X,

b에 첨자 붙인 것들로 이루어진 행렬을 B라고 할 때,

AX = B 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고,

이것을 행렬의 곱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식으로 정의할 때 행렬의 곱은 숫자의 곱과 다르게 교환법칙이 성립되지 않는다.

왜 성립이 되지 않는지를 보도록하자.

 

 

행렬의 곱이 되려면 왼쪽 행렬의 열의 수와 오른쪽 행렬의 행의 수가 같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두 행렬은 아얘 교환해서 연산이 되지 않는다.

연립 방정식에서 파생된 게 행렬의 곱이니

왼쪽 부분을 계수들만 모아놓은 것

오른 쪽 거를 연립 방정식의 미지수를 모아놓은 것의 컨셉을 잡아서 연산을 생각하면,

조금 전에 했던 말의 의미를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에 m=p라고 해도,

AX의 결과는 m행 p열, 즉 m행 m열 행렬인데,

XA의 결과는 n행 n열 행렬이다.

n=m이 아닌 이상 결과로 나오는 행렬의 행, 열의 수가 달라진다.

또한 n=m 일지라도,

행렬에 있는 숫자가 같을진 장담할 수 없다.

AX = B, XA = C 라고 하자.

 

 

두 행렬의 행과 열이 같다고 해도 행렬의 곱의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음을 보였다.

즉, 일반적인 경우에는 두 행렬의 곱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봐야한다.

앞으로 행렬 곱을 계산할 때는 순서를 반드시 지켜야한다는 얘기다.

그러면, (AB)C 와 A(BC)는 어떨까?

둘의 순서는 같은데 괄호가 다르다. 결과가 같을까?

AB = P 라고 하고, BC =Q 라고 놓아보자.

P, Q의 임의의 원소는 다음과 같이 전개할 수 있다.

 

 

(AB)C = PC = V

A(BC) = AQ = W

라고 하자.

그럴 때, V와 W의 임의의 원소를 전개해보자.

 

 

V의 임의의 원소와 W의 임의의 원소가

v_i,j = w_i,j

서로 같으므로, V=W 이고,

(AB)C = A(BC) 이므로,

곱셈에 대한 결합법칙은 성립한다.

괄호를 어떻게 쳐서 곱하든 상관없다는 뜻이다.

곱하는 순서는 지켜야하지만, 묶는 거는 순서만 지키면 된다는 얘기다.

행렬의 곱셈을 정했는데, 덧셈은 어떻게 정할 수 있을까?

연립 방정식으로 돌아와서,

미지수가 같고 계수가 다른 연립 방정식을 더해보자.

 

 

이런 두 개 연립 방정식을 더하는 거 말이다.

그러면 형태는 아래와 같이 될 것이다.

 

 

 

 

이게

 

 

이런 식으로 표현 되고, 이 연립방정식 시스템은 AX=B 로 표현한다고 하자.

 

 

이게

 

 

이런 식으로 표현 되니, CX=D 가 된다고 하자.

AX와 CX를 더하면,

 

 

이런 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도 표현할 수 있다.

 

 

이건 또,

 

 

이렇게 표현할 수 있고, 연립 방정식을 보면,

AX + CX = B+D 임을 알 수 있다.

행렬 형식을 GX = H로 볼 때,

AX + CX = GX

B+D = H 이다.

B+D = H 를 보면

행렬의 행, 열의 수가 같아야 행렬의 덧셈 연산이 가능하며,

그 행렬 원소의 덧셈은 행이 모두 똑같은 것 끼리 더해져야 한다.

그리고 행렬 분해 작업을 해서 전개하면,

 

여기서

 

 

이렇게 되고, 같은 미지수 별로 묶으면,

 

 

 

이렇게 될 것이고, 같은 행 끼리 덧셈이 가능하므로

 

 

 

이렇게 표현할 수 있다. 이 형태를 행렬 곱으로 나타내면,

 

 

 

이렇게 된다. 이런 연산이 원활하게 되려면,

행렬 덧셈에서 행렬 원소의 행 뿐만 아니라 열까지도 같아야 덧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러면 AX+CX=GX 가 (A+C)X = GX 로 행렬 곱셈 분배법칙도 성립하게 된다.

행렬에 있는 원소끼리 더해서 나오는 게 행렬의 덧셈이므로

a_i,j + c_i,j = c_i,j + a_i,j (1=< i,j =<n)

임의의 원소 덧셈이 성립하므로, 행렬의 덧셈은 교환법칙이 성립된다.

A+C = C+A = G

이런 논리로 결합법칙도 성립합을 알 수 있다.

(A+B)+C = A+(B+C)

연립 방정식에서 행렬의 연산을 이끌어냈는데,

정리하면

곱셈은 교환법칙이 성립되지 않고, AB ≠ BA

결합법칙은 성립한다. (AB)C = A(BC)

분배법칙도 성립한다. (A+B)C = AC + BC

덧셈은 교환법칙과 결합법칙 모두 성립한다.

A+B=B+A, (A+B)+C = A+(B+C)